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. 2011년 이명박 대통령 이후 12년 만에 이루어지는 국빈 방문임에도 이번 정상회담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. <br /> <br /> 미국은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에 선물 보따리를 안기긴커녕 자국 중심주의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. 미국은 전기차 보조금 대상자에서 한국 기업을 배제했다. 물론 미국을 제외한 독일, 일본 등 모든 나라가 겪은 일이나, 미국이 그간 견지한 자유무역주의와는 상충하는 일이다. 미국에서 반도체 보조금을 받으려면 생산 수율 등 핵심 정보를 담아서 제출하라는 요구 역시 강대국의 독선으로 느껴질 법하다. <br /> <br /> 미국의 ‘횡포’는 경제 문제뿐만 아니다. 최근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았던 펜타곤 문건 유출 사건 및 그에 대한 대응 역시 마찬가지다. 2013년 미 국가안보국(NSA)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문서 유출 사건을 통해 한 차례 드러났던 사실이 또 한 번 확인되었다. 미국은 적뿐 아니라 동맹까지 무차별적으로 도·감청하며 정보를 수집한다. 그런 일이 드러난 후에도 직접 사과 혹은 유감 표명을 하지 않는다. 오히려 우리 정부와 여당 관계자들이 나서서 미국 편을 들고 있는 실정이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미국 중심주의 비판 있지만 탈 미국은 대안 아니야 <br />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서 벗어나는 것은 우리의 길이 아니다.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건, 심지어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뛰어넘는 ‘독립’을 추구하기 위해서건, 우리가 택해야 하는 방향은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더 깊숙이 뛰어들고 참여하는 것이다. <br /> <br /> 필자가 최근 번역해 출간을 앞둔 크리스 밀러 미 터프츠대 교수의 저서『칩 워: 누가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가 될 것인가』의 한 대목을 통해 우리의 현실을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57903?cloc=dailymotion</a>